🎨 2025년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세밀화 공모전
국민의 손으로 그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! 이번 공모전은 야생생물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고, 대중의 보전 활동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.
📌 공모전 개요
- 공모 내용: 2025년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 세밀화
- 대상 생물: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
- 공모 자격: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이상 국민
- 공모 기간: 2024년 12월 27일 ~ 2025년 3월 14일
- 접수 기간: 2025년 2월 1일 ~ 3월 14일(42일간), 17:00 마감
- 접수 방법:
공모전 접수 홈페이지(https://nie.gcontest.co.kr/)를 통한 온라인 접수
※ 수상 시 학술 묘사는 원본, 디지털 일러스트는 작업 원본 파일 제출 필수
※ 문의: 02-6953-1985
🖌️ 작품 규격 및 제출 형식
- 응모 제한: 1인 1작품, 개인 응모만 가능하며 반드시 본인의 창작물이어야 함
- 작품 규격:
- 학술 묘사(원화): 약 42㎝×59.4㎝(A2 크기), 흰색 또는 미색 종이
※ 촬영 또는 스캔한 고화질 이미지 파일로 제출 - 디지털 일러스트: 해상도 3840×2160px, 600dpi 이상, CMYK
※ 접수 시 1920x1080px 고화질 이미지 파일 제출
🏅 심사 및 시상
- 심사 일정: 2025년 3월 17일 ~ 3월 25일(예정)
- 결과 발표: 2025년 3월 26일 오후 3시(예정)
- 시상 및 전시: 2025년 4월 1일, 멸종위기종의 날(예정)
- 시상 내역: 총 24작품, 상금 1,460만원
- 대상(1명): 상금 200만원
- 최우수상(2명): 상금 각 150만원
- 우수상(3명): 상금 각 100만원
- 입선(6명): 상금 각 50만원
- 참가작(12명): 상금 각 30만원
🐾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
1월 - 구렁이 (멸종위기 Ⅱ급 / Elaphe schrenckii)
- 2025년 푸른 뱀의 해를 맞아 선정. 국내 자생종 중 가장 큰 뱀.
2월 - 흑두루미 (멸종위기 Ⅱ급 / Grus monacha)
- 겨울철새로 북상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며, 생태계서비스 성공 사례로 주목.
3월 - 초령목 (멸종위기 Ⅱ급 / Michelia compressa)
- 제주도 자생 식물로 목련과 중 가장 먼저 봄을 알림.
4월 - 염주알다슬기 (멸종위기 Ⅱ급 / Koreanomelania nodifila)
- 염주알을 닮은 형태로 다슬기와 유사. 혼획 보호 필요.
5월 - 물장군 (멸종위기 Ⅱ급 / Lethocerus deyrolli)
- 부성애로 잘 알려진 종으로 황소개구리의 포식자.
6월 - 남생이 (멸종위기 Ⅱ급 / Mauremys reevesii)
- 삼국유사 구지가의 거북 이야기로 유명하며, 복원 대상종.
7월 - 삵 (멸종위기 Ⅱ급 / Prionailurus bengalensis)
- 한국 고유종으로 국민들에게 친숙하며, 새끼와 함께 목격 빈도 증가.
8월 - 나팔고둥 (멸종위기 Ⅱ급 / Charonia lampas)
9월 - 자주땅귀개 (멸종위기 Ⅱ급 / Utricularia yakusimensis)
10월 - 노란잔산잠자리 (멸종위기 Ⅱ급 / Macromia daimoji)
- 가을 은행나무 잎 색을 닮은 잠자리로, 하천 보호 필요.
11월 - 산양 (멸종위기 Ⅰ급 / Naemorhedus caudatus)
- 성공적인 복원 사례로 겨울철 먹이 부족이 보호 활동의 주요 이유.
12월 - 열목어 (멸종위기 Ⅱ급 /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)
- 산천어와 유사한 냉수성 어종으로 겨울철 홍보 필요.
🔗 관련 링크